
✔️상표 등록 전 반드시 해야 할 일
- 1. 브랜드명 결정 - 독창적인 브랜드명을 정하고, 유사한 이름이 있는지 확인
- 2. 키프리스(KIPRIS) 검색 - KIPRIS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 검색
- 3. 상표 카테고리(류) 선택 - 제품 유형에 맞는 적절한 카테고리(국제상품분류 기준) 선택
- 4. 상표 디자인 준비 - 로고 포함 여부 결정 및 디자인 작업
- 5. 사업 확장 계획 검토 - 향후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 유사 상표도 함께 출원할지 결정
상표 등록이 필요한 이유
- 독점권 확보 - 법적으로 보호받고 무단 사용 방지
- 브랜드 가치 상승 - 네이버 브랜드 등록 및 카탈로그 광고 활용 가능
- 지식재산권 보호 - 경쟁업체 대비 차별화
✅ 상표 등록이 유리한 사업 유형
1. 자체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
- 생활용품, 화장품, 식품, 의류, 가전제품 등 자체 브랜드(Private Label)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
- 예: 직접 생산한 천연 비누, 건강식품, 기능성 의류 등
📌 이유:
- 유사 브랜드 출현 방지
- 스마트스토어, 쿠팡, 11번가 등에서 브랜드 등록을 통한 카탈로그 광고 가능
- 제품이 인기를 얻었을 때, 타 업체의 상표 도용 방지
2. 온라인 쇼핑몰 & 스마트스토어 운영 사업
- 특정 제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경우(예: ‘MJT 저주파 마사지기’)
- 스마트스토어, 쿠팡, 지마켓 등에서 독자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고 싶은 경우
📌 이유:
- 네이버 쇼핑, 스마트스토어에서 브랜드 등록 및 카탈로그 광고 가능
- 공식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소비자 신뢰도 증가
- 동일 제품을 파는 판매자가 많아도 내 브랜드 제품이 대표 카탈로그로 설정될 가능성 증가
3. 창업 초기의 스타트업 & 개인사업자프랜차이즈 사업 (요식업, 카페, 배달 전문점) , 콘텐츠 & 온라인 플랫폼 사 업등등
❌ 상표 등록이 크게 필요 없는 경우
- 단순 리셀러(Reseller) 사업 → 기존 브랜드 제품을 그대로 유통하는 경우
- 소규모 1인 사업 & 지역 기반 사업 → 브랜드 확장 가능성이 낮거나 단기 운영 예정인 경우
- 일반 서비스업 (예: 이사 서비스, 개인 과외 등) → 브랜드 보호보다는 네트워크와 입소문이 중요한 경우
☑️상표 등록 절차
① 상표 검색 (기존 등록 여부 확인)
특허청의 키프리스(KIPRIS)에서 브랜드명이 이미 등록되었는지 확인
② 상표 출원 신청 (특허청 등록)
특허청 특허로에서 온라인 출원 가능
③ 특허청 심사 (4~8개월 소요)
기존 상표와 충돌하는지 심사 → 통과 시 등록 결정
④ 등록료 납부
등록료 납부 후 10년간 상표 독점 사용 가능

☑️비용 정리
단계 | 비용 (일반 출원) | 비용 (온라인 출원) |
---|---|---|
출원 수수료 | 66,000원 | 62,000원 |
등록 수수료 (10년) | 211,000원 | 211,000원 |
변리사 대행 (선택) | 약 30~50만원 |
☑️상표 등록 시 유의할 점
- KIPRIS 검색 필수 - 기존 등록된 상표와 겹치면 거절될 가능성 높음
- 상품 카테고리(류) 정확하게 선택 (예: 생활용품은 제21류, 마사지기는 제10류)
- 등록 후 3년 내 사용해야 함 (미사용 시 취소 가능)
☑️ 결론
✔ 직접 출원하면 비용 절감, 변리사 이용 시 빠른 진행 가능
✔ 등록까지 4~8개월 소요되므로 미리 준비할 것
📌 빠르게 진행하는 방법:
- KIPRIS에서 브랜드명 검색
- 특허청 특허로에서 온라인 출원
- 심사 결과 기다린 후 등록 완료
✔️ 이렇게 하면 브랜드 보호 + 마케팅 강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! 😁